지난 달부터 국내와 해외 교육기관의 우수 사례로서 아주대학교와 UCL의 지속가능 성과를 총 3개의 시리즈로 다루어보았습니다. 오늘 포스팅은 그동안 진행되었던 국내 및 해외 교육기관 시리즈의 마침표가 될 것 같습니다. 국내보다 한 발 앞서 지속가능경영에 대한 고민을 시작한 영국의 모습과 학생들에게 좀…
뉴스/연구
♦ 미국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로비 집단, 비즈니스 라운드테이블 비즈니스 라운드테이블(이하 BRT)은 미국 내 200대 대기업 협의체입니다. 우리가 잘 아는 애플의 팀 쿡, 아마존의 제프 베이조스, 마이크로소프트의 사티아 나델라 모두 BRT의 일원입니다. 미국 상공회의소와 함께 미국에서 가장 영향력이 큰…
ESG에 대해 공부하다 보면 수많은 새로운 용어들을 접하게 됩니다. 그중 가장 흔하게 접할 수 있는 용어로 TBL이라는 단어가 있습니다. TBL은 Triple Bottom Line의 약자로, 지속가능성 운동의 대부라 불리는 존 엘킹턴이 1994년에 정립한 개념입니다. 흔히 Bottom Line(마지막 줄)은 수입에서 지출을 제한…
UNGC는 ESG와 관련된 뉴스에서 자주 언급되는 키워드 중 하나입니다. 실제로 포털사이트 검색창에 UNGC를 검색해보면, OO기관/기업이 UNGC에 가입했다는 헤드라인을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출처: UNGC ♦ UNGC는 어떤 단체인가? 유엔글로벌콤팩트, UNGC는 2000년 7월 설립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선도하는 유엔…
2021년, 정부는 금년도 안으로 K-ESG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겠다는 뜻을 밝혔습니다. 그로부터 약 반년이 지난 12월 1일, 산업통상자원부는 관계부처 합동으로 마련한 K-ESG 가이드라인을 공개했습니다. ♦ K-ESG 가이드라인의 구성 K-ESG 가이드라인은 국내외 주요 13개 평가기관의 3000개 이상의 지표와 측정항목을 분석하여 총 4개…
최근 환경을 중요시하는 소비자가 점점 늘어나면서, 여러 기업들이 ‘친환경’이라는 단어를 앞세워 제품을 홍보하는 모습을 흔히 볼 수 있습니다. 실제로 친환경 제품들이 많은 소비자들의 선택을 받아 기업의 매출 증대를 이끌어내기도 했습니다. 반면, 친환경 마케팅만을 내세우다 오히려 그린워싱 논란으로 크게 질타를 받은…
최근 ESG 열풍과 함께 한국에 여러 개의 평가기관이 생겼고, 기존 평가기관들도 점점 발전하고 있습니다. 국내의 대표 ESG 평가기관으로는 한국기업지배구조원(이하 KCGS)과 서스틴베스트를 꼽을 수 있습니다. (1) 한국기업지배구조원 우선 2002년 6월 설립된 KCGS는 높은 투명성과 전문성을 갖춘 국내 ESG 평가기관입니다. 2003년…
최근 네이버 뉴스 사이트에 접속하면, ESG라는 단어를 어렵지 않게 발견할 수 있습니다. 여러 기업들이 잇따라 ESG 경영 도입을 선언하고 나섰기 때문입니다. 서점에 펼쳐진 ESG 관련 신간도서들도 ESG에 대한 한국 사회의 관심도가 크게 증가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ESG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사람들은, ESG는…
♦ ESG는 기업의 비재무적 경영평가 지표 ESG는 20년 말에서 21년도 초를 기점으로 대한민국에서 새롭게 떠오른 화두입니다. ESG는 환경(Environmental), 사회공헌(Social), 지배구조(Corporate Governance)의 약자입니다. 기업의 지속가능경영을 평가하는 비재무적 지표를 뜻하며, 투자자들이 기업에 대한 투자 여부를 결정할 때 주로 참고합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