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명문대학 UCL은 체계적인 ESG 시행 시스템을 갖춘 교육기관입니다. 특히 주목할만한 부분은 학교의 ESG가 단순히 학교 경영층에만 머물러있는 것이 아니라, 학생들까지 ESG에 동참하고 있다는 사실입니다. UCL에서 진행중인 학생 주도의 이니셔티브 몇 가지를 다뤄보려 합니다. ♦ UCL Consulting Society UCL…
우수사례
UCL(University College London)은 1826년 런던의 중심부에 세워진 영국의 대표 종합대학입니다. 2022년 QS 세계대학 순위에서 8위를 차지하는 등 국제적 수준의 연구진 및 교수진과 뛰어난 리서치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지속가능성 분야 역시 “Sustainable UCL”을 표방하며 지속가능한 연구적 성과를 내고 있는 선진대학에 속합니다….
국내대학교는 해외대학교에 비해 ESG 도입이 상대적으로 늦은 편입니다. 그러나 국내 소수의 대학교에서도 지속가능발전 행보를 이어온 사례가 존재합니다. 대표적으로 2020, 2021년 모두 지속가능발전보고서를 발간한 아주대학교가 있습니다. 아주대학교는 학술 연구 및 기업과의 협력 분야에서 두각을 드러내며, 최근 세계 랭킹에서도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이번 글은 하버드 ESG 사례를 다룬 마지막 글로, 지속가능성 리포트의 마지막 키워드인 “문화와 학습”과 하버드 리포트로부터 배울 점, 생각해볼 점을 다루겠습니다. ♦ 하버드의 ESG 지배구조 엿보기 하버드 ESG 보고서 마지막 키워드인 “문화와 학습” 파트를 통해, 캠퍼스 내 ESG…
하버드의 지속가능성 리포트는 5가지 키워드로 구성돼있습니다. 지난 글에서 세계대학교 지속가능성 진행 현황과 하버드 지속가능성 보고서의 첫번째 키워드인 온실가스 배출과 에너지 사용에 대한 내용을 다뤘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어지는 키워드인 건강과 행복, 캠퍼스 운영, 자연과 생태계를 중점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두번째 키워드:…
해외대학교는 국내대학교보다 지속가능경영을 보다 일찍 도입한 사례들이 많습니다. 특히 대학교 순위 상위권을 차지하는 대학들의 경우, 이미 온실가스 감축 관련 목표를 공시한 곳을 쉽게 발견할 수 있습니다. 출처: 서울대학교 지속가능발전연구소 2020 그린레포트 서울대학교 지속가능발전연구소에서 발간한 2020 그린레포트 마지막 파트에는…
2020년에 들어서며 한국 사회에 ESG 붐이 일자, 가장 선두에서 ESG 경영 시작을 알리고 시행해나간 건 단연코 기업입니다. 그러나 최근에는 그 파장이 기업뿐만 아니라, 교육기관에까지 뻗어나가고 있습니다. ♦ ESG 경영비전 선포 마치 20, 21년도에 수많은 기업들이 ESG 경영 실천을 선언한…
21년도 상반기, ESG와 관련하여 가장 많이 언급된 키워드 중 하나는 “ESG 위원회”였습니다. ESG 위원회를 설립했다는 기업의 소식들을 기사를 통해 흔히 접할 수 있었습니다. 출처: 서울신문 서울신문의 보도자료에 따르면, 21년 1월부터 5월까지 총 61개의 기업이 ESG 위원회를 신설·개편했다고 합니다….
2015년에 출시된 당근마켓은 국내 1위 지역 기반 온라인 중고거래 플랫폼입니다. 이미 누적 가입자 2000만명, 월 이용자 1500만명(21년도 기준)을 달성했습니다. 당근마켓은 자원 재사용과 상호 연결의 가치에 기반해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탄생시킨 IT업계 혁신의 아이콘으로 불립니다. ‘당’신의 ‘근’처의 마켓 (출처: 당근마켓…
국내에서는 20년도 말에 들어서야 ESG에 대한 관심이 폭발적으로 증가했습니다. 이에 따라 21년도를 기점삼아 본격적으로 ESG 경영을 도입하는 기업들이 늘어났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ESG에 대한 논의가 본격화되기 이전부터, 지속가능성의 가치를 가지고 꾸준히 경영을 이어온 국내 기업도 존재합니다. 대표적으로 국내 치약, 비누 및…